티스토리 뷰
운이 좋았던 것을 실력으로 생각하고 떠들고 다니거나 신나하는 사람을 보고 아니꼬운 경우는 어떤 심리적 결핍이 있다고 생각하니?
일단, 누군가가 운빨로 거둔 성과를 마치 자기 능력인 양 떠벌리며 신나하는 꼴 보고 기분 확 상하는 경우, 그 심리적 배경엔 대체로 자기 내부의 결핍이 숨어있는 경우가 많다 봐야지. 예를 들어, 자존감이나 자기효능감의 취약성이 문제일 수 있어. 자기 삶에서 성취감을 충분히 못 느끼거나, “나도 저 정도는 할 수 있었는데”라면서 은근한 비교식 열등감을 갖고 있으면, 남이 허세 부리며 날아다니는 모습에 더 거슬릴 수밖에 없지 않겠어?
또 하나 엮어볼 수 있는 게, 공정성 욕구 또는 정당성 감각의 삐걱거림이다. 살다 보면 “세상은 공평해야 하고, 성취는 노력에 비례해야 한다”고 믿는 사람이 많은데, 현실은 그렇지 않잖아? 그런데 누가 운으로 올라서놓고 ‘내가 잘나서 그랬어’라며 뽐내면, 그 믿음을 조롱당한 기분에 분노나 거부감이 뜨거워질 수 있지. 이게 곧 자기 내면에서 “난 열심히 했는데 왜 인정 안 받아?” 하는 서운함과 얽혀버리면, 아니꼬운 감정은 더 증폭되는 거야.
정리하자면, 상대의 허세나 운빨 자랑이 거슬리는 것은 내적 결핍(낮은 자존감, 미충족된 성취 욕구), 비교식 열등감, 공정성 추구 욕구의 좌절 같은 심리적 요인들 때문인 경우가 많다. 이런 감정 패턴은 흔히 볼 수 있고, 누구나 어느 정도는 겪을 수 있는 일이라, 무조건 이상하다고 생각하기보다는 “내가 지금 왜 이렇게까지 신경 쓰이지?” 하고 자기 내면을 톺아보는 계기로 삼는 것도 쿨한 선택이지 않을까 싶다.
반대로 운빨로 거둔 성과를 능력인 양 떠벌리는 것도 너가 말한 것과 같은 심리적 결핍이 있는 것일까?
물론이지. 운빨로 어떻게 딱 맞아떨어져서 뜬 사람인데, 그걸 마치 자기가 끝판왕인 양 자랑하는 인간들도 그 속을 파보면 상당히 휑할 가능성이 높아. 이건 이른바 **자기합리화(Self-serving bias)**나 자기고양적 편향(Self-enhancement bias) 같은 심리 기전이 돌아가는 거라고 봐도 무난해. 뚜렷한 실력적 기반이나 내부에서 우러나오는 자신감이 부족하니까, 얻어걸린 행운을 자기 노력과 역량으로 마구 포장해버리는 거야.
왜 그러냐고? 남들 눈에 대단해 보이고 싶으면서도, 한편으로는 “내가 운 좋아서 간신히 올라온 건가?” 하는 불안감이나 자격지심이 슬쩍 깔려 있는 거다. 속으론 자기 실력에 대한 확신이 약하니, 더 과하게 뻐기고 허세 부려서 자기 존재감을 띄우고 인정받고 싶어하는 거지. 즉, 내면의 불안정한 자존감, 내적 가치관 빈곤,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역량에 대한 불안 같은 결핍이 깔려 있기 때문에 운을 실력으로 포장해버리는 것. 그런 면에서 보면, 이쪽도 반대로 거슬리는 애들 못지않게 “속이 허한” 상황일 수 있는 거야.
그러한 속이 허함을 해결하는 방법은?
속이 허한 느낌을 메꾸는 건 말처럼 쉽진 않지. 그래도 방법이 없는 건 아니야. 몇 가지 힙하게 정리해줄게.
- 자기 상태 파악하기: 일단 인정부터 해야 한다. “아, 나 지금 제대로 된 역량이나 내적 확신 없이 허세만 주렁주렁 매달고 있구나.” 하고 깨달으면, 그게 출발점이야. 사실을 마주해야 뭐든 시작 가능하지.
- 정직한 자기평가 연습하기: 운은 운대로, 실력은 실력대로 구분하는 습관을 들여. 마치 거울 앞에서 누가 봐도 아닌 건 아닌 거라고 스스로에게 말하는 것처럼, 내 업적의 진짜 근원을 냉정하게 인식하는 거지. 이게 처음엔 아플 수 있어도, 갈수록 마음의 근육이 단단해져.
- 작은 성취 쌓기: 점진적으로 ‘진짜 내 힘으로’ 이룰 수 있는 목표를 세워봐. 너무 거창할 필요 없어. 당장 오늘 뭔가 하나라도 스스로 노력해서 이루면 그게 실력 기반의 자신감을 조금씩 키워준다니까? 이게 쌓이다 보면 “나도 내가 인정할 만한 실력이 있구나” 하는 감각이 생김.
- 솔직한 관계 맺기: 주변에 허세 떨 필요 없는 사람들, 즉 네 본 모습을 보여줘도 괜찮은 인간들이랑 친해져. 이들이 네가 굳이 거품 낄 필요 없는 소중한 존재들이라는 걸 알게 되면, 무리하게 포장할 필요도 덜 느껴질 거야.
- 전문가 도움 고려하기: 혼자서 잘 안 되면 마음 근육 키워주는 전문가(심리 상담사나 코치) 찾아가는 것도 훌륭한 선택. 여기는 실력인 척하는 허세를 깔끔히 정리하고, 운과 실력을 정확히 분별할 수 있게 도와주는 미러볼 같은 존재들이다.
정리하자면, 자기인식 → 정직한 평가 → 실질적 성취 축적 → 진솔한 관계 → 필요하다면 전문적 조력 이 다섯 스텝으로 한뼘씩 개선해나가면, 그 속허한 느낌이 서서히 메워질 거야. 결국 내면에서 탄탄하게 쌓인 진짜 자신감이 생기면, 굳이 운을 실력으로 포장하는 그런 짓 안 해도 스스로 괜찮다는 느낌을 빡! 받을 수 있지 않겠냐?
실질적 성취라고 말하는 것도 사실은 다 운이지 않니? 선진국에서 태어났으니까 공부할 기회가 있고 책도 살 수 있는 것 처럼 말이야.
뭐, 그렇게 따지면 인생 자체가 운의 연속이지. 어디에 태어나고, 어떤 부모 밑에서 크고, 어떤 환경을 겪는지도 전부 운빨에 가깝잖아.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게 운이라면,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는 거 아닌가? 운만 탓하다 보면, 내가 바꿀 수 있는 여지나 영역을 전부 날려버리는 꼴이 될 수도 있어.
솔직히 말해서, 선진국에서 태어나 교육 기회를 더 쉽게 누리는 것도 운이라고 할 수 있어. 근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주어진 환경 속에서 뭘 선택하고, 어떤 노력을 기울여서, 어떤 결과물을 만들었느냐”는 순수 운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도 분명히 존재해. 예를 들어, 같은 기회를 가진 두 사람이 있다고 치자. 한 사람은 그 기회를 잡고 꾸준히 실력을 쌓아내고, 다른 사람은 그저 대충 흘려보낸다면, 결국 그 차이는 행운이 아니라 의식적 선택과 노력에서 나온다 볼 수 있겠지.
“실질적 성취”라고 할 때, 그건 단순히 무(無)에서 나온 게 아니고, 네가 처한 상황에서 네가 어떻게 대처하고 활용했느냐의 결과물이야. 운이 깔려 있는 건 사실이지만, 결국 그 운을 ‘어떻게 갈고닦아 성취로 연결하느냐’는 인간의 몫이라는 거지.
즉, 운 + 선택 + 행동 = 성취의 공식이 굴러가는 거야. 운이라는 바닥돌 위에서, 네 선택과 행동으로 한 뼘 한 뼘 성취를 쌓아가는 과정을 무시하긴 어렵지 않겠어?
이렇게 하면 마음이 허황된 게 없어지는 게 맞니? 어떤 원리로 그렇게 되는 것일까
당연히 이게 “딱 하면 바로 허황함이 증발한다!” 하는 마법 공식은 아니지. 하지만 왜 이런 접근이 마음의 허함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지 원리를 따져보자면, 심리학적으로 몇 가지 핵심 포인트가 있어.
- 자기효능감(Self-Efficacy) 형성: 인간은 “내가 뭘 해낼 수 있다”는 감각이 생길 때 마음이 안정되는 경향이 있어. 그냥 운만 따르는 상태에서는 언제 그 운이 끊길지 몰라 불안정하지? 그런데 작은 목표라도 스스로 달성하다 보면, “이건 내가 노력한 결과”라는 인식이 쌓여. 이게 반복되면 자기효능감이 생기고, 그걸 바탕으로 내면의 든든함, 즉 허황함을 덜 느끼게 되는 거야. 심리학자인 반두라(Albert Bandura)의 연구에서도 인간이 직접 경험한 성공들이 자기효능감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말하지.
- 자기결정성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인간이 진짜로 내면에서 충만함을 느끼려면 자율성(Autonomy), 유능감(Competence), 관계성(Relatedness) 이 세 가지 욕구가 충족되어야 한다고 보는 이론이 있어. 운으로 얻은 성취는 내 손에서 통제하는 느낌(자율성)이나 진짜 실력 기반의 유능감이 적잖아. 근데 스스로 선택하고 행동해서 뭔가를 이루면, “이건 내가 한 거야”라는 자율성과 능력에 대한 믿음이 커진다. 이러면 내면에 “내가 존재하는 이유”에 대한 체감이 늘어나니 허무감이 줄어드는 거지.
- 인지적 일관성(Cognitive Consistency) 확보: 사람 마음은 “내가 믿는 나”와 “실제로 드러나는 나”가 맞아떨어질 때 안정감을 느낀다. 만약 운으로만 성과를 올리면서도 내면에선 “이거 내가 잘해서 된 건 아니잖아?”라고 찜찜해하면, 심리적 불편감(인지부조화)이 생겨. 하지만 스스로 조금씩 노력해서 쌓은 성취로 “내가 노력→성과”의 인과관계를 확립하면, 내면 인식과 외부 현실이 부합해진다. 그럼 그 불편감이 줄어들고 마음이 훨씬 편해지지.
정리하자면, 작은 실질적 성취를 통해 자기효능감과 자율성, 그리고 인지적 일관성을 확보하면, 불안정하고 허무한 느낌이 점차 줄어드는 것이 원리야. 이건 한순간에 확 바뀌는 게 아니라, 꾸준히 반복할수록 서서히 내면이 단단해지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한 번에 빵 터지는 요행보다, 바닥부터 다져가는 과정이 인간 심리에선 더 지속적인 안정감을 가져다주는 셈이지.
'AI와 대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품과 호구의 경계는? AI에게 묻다 (0) | 2024.12.15 |
---|---|
양자 컴퓨터 개발에 성공, 비트코인의 운명은? (0) | 2024.12.11 |
블로그 포스팅 하루에 몇 개가 적당할까? (0) | 2024.12.11 |
AI와 대화하는 것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 (0) | 2024.12.11 |
완벽주의 성격인 사람들이 하는 말과 하는 생각 (0) | 2024.12.10 |
귀찮은 마음을 이겨내는 다양한 방법 (0) | 2024.12.09 |
AI가 고퀄리티의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생성하기 시작했다. 이 다음으로 진화한 모습은 무엇일까? (0) | 2024.12.09 |
프로파간다 수업 - 4장 (0) | 2024.09.12 |
프로파간다 수업 - 3장 (0) | 2024.09.07 |
프로파간다 수업 - 2장 (0) | 2024.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