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5초면 차트 분석 끝
우리는 종종 ‘합리적인’ 선택을 한다고 믿는다. 가격이 더 낮으면 싼 제품을 사고, 이익이 크면 그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 하지만 현실은 그리 간단하지 않다. 같은 금액이라도 잃을 때의 고통이 얻을 때의 기쁨보다 훨씬 크게 느껴진다. 이처럼 인간이 객관적인 기대값보다 손실을 더 크게 평가하는 심리적 경향을 설명하는 것이 바로 프로스펙트 이론(Prospect Theory)이다.
우리는 왜 ‘손실’을 두려워할까?
1979년, 다니엘 카너먼(Daniel Kahneman)과 아모스 트버스키(Amos Tversky)는 실험을 통해 사람들이 실제로 어떻게 결정을 내리는지 연구했다. 그리고 기존 경제학이 가정했던 것처럼 ‘완전히 합리적인 존재’로 행동하지 않음을 밝혀냈다. 특히, 사람들은 같은 금액이라도 손실을 더 강하게 인식했다.
예를 들어, 당신에게 두 가지 선택지가 있다고 하자.
1️⃣ A 옵션: 100% 확률로 100만 원을 받는다.
2️⃣ B 옵션: 50% 확률로 200만 원을 받고, 50% 확률로 아무것도 받지 못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A 옵션을 선택한다. 기대값은 두 선택지 모두 100만 원이지만, 사람들은 확실한 이익을 선호한다. 하지만 상황을 뒤집어 보자.
3️⃣ C 옵션: 100% 확률로 100만 원을 잃는다.
4️⃣ D 옵션: 50% 확률로 200만 원을 잃고, 50% 확률로 아무것도 잃지 않는다.
이번에는 대부분이 위험을 감수하고 D 옵션을 선택한다. 이익을 얻을 때는 ‘확실한 것’을 선호하지만, 손실을 볼 때는 ‘모험’을 한다. 손실을 피하려는 강한 심리적 본능이 작동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손실 회피(loss aversion)는 프로스펙트 이론의 핵심 개념이다. 손실은 심리적으로 두 배 더 강렬하게 다가오며, 이로 인해 우리의 선택은 종종 ‘비합리적’이 된다.
경제학이 놓쳤던 인간의 심리
전통 경제학은 기대 효용 이론(Expected Utility Theory)을 바탕으로, 인간이 항상 합리적으로 최적의 선택을 한다고 가정했다. 하지만 현실에서 사람들은 이론과 다르게 행동한다.
예를 들어, 주식 시장에서 개인 투자자들은 상승장에서 빠르게 이익을 실현하고, 하락장에서는 끝까지 버티려는 경향이 있다. “더 오를 수 있으니 지금 팔자”라고 생각하면서도, 막상 손실이 나면 “조금만 더 기다리면 오를 거야”라며 미련을 버리지 못한다. 이 과정에서 작은 이익은 쉽게 챙기면서도, 큰 손실을 감수하게 된다.
이와 비슷한 현상은 도박에서도 나타난다. 카지노에서 돈을 잃은 사람들은 “다시 따면 돼”라는 심리로 계속 베팅한다. 이처럼 손실을 본 순간, 사람들은 더 위험한 선택을 하게 된다.
프로스펙트 이론이 바꾼 것들
프로스펙트 이론은 단순한 심리 실험이 아니다. 실제로 우리의 경제 시스템과 정책 설계 방식까지 바꿨다.
📌 행동경제학의 탄생
프로스펙트 이론은 ‘행동경제학(Behavioral Economics)’의 초석이 되었다. 이는 단순한 숫자 계산이 아니라, 인간의 심리적 요소까지 고려한 경제학이다. 이후 리처드 탈러(Richard Thaler)는 ‘넛지(Nudge)’ 이론을 발전시키며, 정책 설계에서 인간 심리를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했다. 예를 들어, 연금 가입률을 높이기 위해 자동 가입 시스템을 도입한 것이 대표적이다.
📌 마케팅과 소비 심리
기업들은 소비자의 ‘손실 회피’ 심리를 활용해 마케팅 전략을 짠다. “지금 할인하지 않으면 기회를 놓칩니다”라는 메시지는 바로 이러한 심리를 이용한 것이다. 한정 판매, 시간 제한 할인, ‘한 번 사면 환불 불가’ 정책도 손실을 피하려는 심리를 자극한다.
📌 금융과 투자 전략
투자자들에게 손실 회피 심리는 치명적일 수 있다. 단기 변동성에 휘둘려 비이성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금융업계에서는 투자자 교육을 통해 프로스펙트 이론을 설명하며,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전략을 강조한다.
결국, 우리는 감정적인 존재다
우리는 이성적인 선택을 한다고 믿지만, 실제로는 감정과 직관에 따라 움직인다. 프로스펙트 이론은 인간이 왜 그렇게 행동하는가를 설명해준다.
이 이론이 주는 교훈은 단순하다.
✅ 손실을 피하려는 심리가 강하다는 것을 인정하라.
✅ ‘지금 당장 확실한 이익’이 꼭 최선의 선택은 아니다.
✅ 감정적인 선택을 할 때, 한 발짝 물러서서 객관적으로 바라보라.
결국, 프로스펙트 이론은 우리가 왜 이성적이지 않은지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그 이해가야말로, 우리가 더 나은 결정을 내리는 첫걸음일지 모른다.
'취미로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튤립 한 송이에 왜 사람들은 영혼까지 팔았을까? 튤립 파동이 우리에게 전하는 경고 (0) | 2025.02.20 |
---|---|
블랙 먼데이에서 코로나 쇼크까지, 반복되는 교훈 (0) | 2025.02.19 |
영국 파운드화는 무너질 수밖에 없었다? 검은 수요일, 소로스의 과감한 공매도! (0) | 2025.02.16 |
헤지펀드: 위험을 피하려던 이름, 위험 활용의 대명사가 되다 (0) | 2025.02.16 |
워런 버핏이 말한 ‘잃지 않는 투자’는 구체적으로 무슨 뜻일까? (0) | 2025.02.16 |
미국 부채, 비트코인으로 해결한다? 과연 말이 될까? (0) | 2025.02.16 |
도박과 투자 사이. 나는 도박을 하고 있는 중일까? (0) | 2025.02.15 |
승률은 90%인데 왜 잔액은 마이너스일까? (0) | 2025.02.15 |
2025.02.14. 비트코인 트레이딩 계획 (0) | 2025.02.14 |
은행 준비금 0% 시대, 슬슬 괜찮은 걸까? (0) | 2025.02.14 |
1.5초면 차트 분석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