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특히 이 원칙은 운동에서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과부하의 원리..

말 그대로 과부하를 실행 함으로써

그 과부하에 적응하도록 반복행동을 하는 것이지요.

그러다보면 몸은 그 과부하에 적응되기 마련이구요.

참 신기하죠.




과부하의 원리에 대한 이해

과부하의 원리에 비추어보면 결국 인간이 무한정 살 수 있다면 어떠한 무게도 들어낼 수 있다는걸 의미합니다. 계속 과부하를 걸어주면 몸은 적응할테니 말이죠.

제가 알기론 근육의 획득량은 운동을 하면 할 수록 얻어지긴 하나, 그 획득하는 양이 점점 줄어들게 되는 것으로 보아 사실 인간의 몸에 한정된 어느 한 지점에 수렴(=종착)하게 됩니다만 인간의 나이의 관점에서볼 때 그 종착지까지 도착한다는 것은 무리가 있어보입니다.

결국, 과부하를 주려고 노력한만큼 더 많은 결과를 얻게 됨을 의미합니다.



그치만 이게 꼭 몸의 근육에만 해당되는가하면 그렇지도 않습니다. 최근 어디 연구결과인지는 정확히 기억이 안나지만, 뇌에도 해당되는 것으로 알려지게 되면서 살짝 파란을 일으키기도 했죠.

즉, 뇌에도 과부하를 걸면 걸수록 거기에 적응하기위해 발달이 된다는것.


이론적으로는 대부분 알고있었지만, 실제로 검증이 된 것은 얼마 안되었다는 것에 의미가 있습니다. 실제로 제가 느껴본 과부하의 적응은, 중학교때는 야간자율학습이 없다가 고등학생이 되니 야간자율학습이 생겼는데, 맨 처음 한달간은 야간자율학습이 끝나면 머리가 어지러우면서 귀가 빨개지고 그랬으나 나중에는 괜찮아지던.... 이런것도 해당이 되겠죠. 이외에 게임 실력이 늘어난다거나 등등..


가끔 저는 이런 과부하의 원리의 현상비슷한 것을 기계에서도 목격하곤 합니다. 실제로 기계에선 적응을 한다거나 그런일은 없겠죠;; 한가지 예시로는 핸드폰을 처음 살 때보다 1,2년 이후의 핸드폰의 프로그램 실행속도가 좋다는 것. 이건 확실히 느낍니다 저는.. 음.. 이것은 어떻게 된건지 참 ^^;;




반응형